마른 체형인데도 배만 볼록 나와 있는 마른 비만 체형인 사람들이 있습니다.
마른 비만이란 체질량지수(BMI)가 정상이더라도 체지방률이 높고 (남성은 체지방률 25% 이상, 여성은 30% 이상) 지방이 복부에 집중된 상태를 말하는데 마른 비만인 사람은 자신이 비만이라는 것도 모르는 경우가 많아서 건강 관리에 소홀한 경우가 많습니다.
마른 비만의 원인
마른 비만의 대표적인 원인은 운동 부족과 잘못된 식습관으로 근력 운동을 하지 않으면 근육이 부족해져 기초대사량 저하로 이어지고 신체는 점점 지방이 쌓이기 쉬운 상태로 변합니다.
또한 유산소 운동의 부족은 내장 사이에 중성지방이 쌓이기 쉽게 만들어줍니다.
그리고 저열량 식단이나 원푸드 식단으로 다이어트를 하는 경우 근육 손실이 일어나 마른 비만으로 이어지기 쉽습니다.
불규칙한 식습관으로 폭식을 하거나, 혈당을 급격하게 높이는 정제된 탄수화물의 섭취가 많거나, 음주를 즐길 때도 마른 비만이 될 수 있습니다.
마른 비만의 위험성
마른 비만은 내장지방이 많은 형태로 건강을 위해 치료와 관리가 꼭 필요합니다.
내장지방은 혈당을 조절하는 인슐린의 역할을 방해하고 염증을 유발하는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돕고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여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지방간 등 대사질환 및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마른 비만은 치매 발병률도 높일 수 있습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따르면 정상 체중에서 내장지방량이 1kg 증가시 치매 발병률 또한 28% 증가한다고 합니다.
마른 비만의 극복 방법
마른 비만의 경우 근육량을 늘리고 체지방량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근육량을 높이고 내장지방을 연소시키기 위해 근력 운동과 유산소 운동을 적절히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하루 30분 정도의 가벼운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을 최소 주 3회 이상 해야 합니다.
운동할 시간이 부족한 직장인이나 학생들은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 이용하기, 평소보다 조금 빨리 걷기 등으로 생활환경 속에서 지혜롭게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식사할 때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 (살코기, 생선, 두부, 콩, 우유 등)을 섭취한다면 포만감이 오래 유지돼 식사량 조절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근육량 증가에도 도움이 됩니다.
정제된 탄수화물 (흰 빵, 과자, 초콜릿, 청량음료 등)의 섭취는 줄이고 섬유질은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른 비만은 겉으로 보기에는 문제가 없어 보여도 실제로는 건강에 많은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올바른 운동과 식습관으로 마른 비만을 극복하고 건강한 몸을 만들어보세요.
오늘은 마른 비만의 원인과 위험성 그리고 극복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2023.08.08 - [건강] - 나이가 들어갈수록 떨어지는 기초대사량을 높이는 방법
나이가 들어갈수록 떨어지는 기초대사량을 높이는 방법
기초대사량은 우리 몸의 기본적인 생체활동에 소비되는 최소한의 에너지 소비량을 말합니다. 기초대사량은 나이, 성별, 유전적 요인, 근육량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일반적으로 근육량이
sosohappy77.tistory.com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탈모를 유발하는 일상 습관 10가지 (1) | 2023.12.02 |
---|---|
귀 옆머리에 나타나는 찌릿한 통증의 원인과 치료방법 (0) | 2023.09.22 |
극심한 생리통의 원인인 자궁근종 증상과 치료 (자궁근종에 좋은 영양제 ) (0) | 2023.09.13 |
건강에 좋은 동물성 지방 5가지 알아보기 (1) | 2023.09.01 |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는 식물성 지방 5가지 (먹으면 살이 빠지는 지방) (1) | 2023.08.28 |